연말정산

① 2026년 직장인 연말정산 A to Z 개념편 : 13월의 월급, 놓치지 마세요!

2025년 하반기가 시작되면서, 슬슬 신경 써야 할 것이 하나 있죠? 바로 2026년 연말정산 준비입니다.
이번 시리즈 첫 편에서는 연말정산의 개념과 흐름, 그리고 소득공제·세액공제의 차이를 알아봅니다.

연말정산, 왜 중요할까요?

연말정산은 1년 동안 낸 세금을 정산하는 절차입니다. 원천징수로 미리 낸 세금과 실제 세금을 비교해 많이 냈다면 환급, 덜 냈다면 추가 납부합니다.
이때 각종 공제 항목을 얼마나 잘 챙기느냐에 따라 돌려받는 금액, 즉 ‘13월의 월급’이 달라집니다.

지금부터 준비하는 이유

연말정산은 보통 다음 해 1~2월에 이뤄집니다. 하지만 공제 대상 지출은 연중 발생합니다.
따라서 지금부터 미리 알아두고 준비해야 세금을 줄이고 환급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의 흐름, 한눈에 보기

  1. 총급여 확인
  2. 근로소득공제 적용
  3. 소득공제 적용 → 과세표준 계산
  4. 세율 적용 → 산출세액 계산
  5. 세액공제 차감 → 최종 결정세액
  6. 이미 낸 세금과 비교 → 환급 또는 추가 납부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구분 소득공제 세액공제
방식 과세표준(세금 계산 기준) 줄임 계산된 세금에서 직접 차감
예시 부양가족, 보험료, 주택자금 연금저축,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효과 간접 절세 직접 절세

세액공제 쪽이 환급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연말정산 일정은 언제인가요?

구분 내용
대상 기간 2025년 1월 1일 ~ 12월 31일 소득
자료 준비 2026년 1월 중순 ~ 말
회사 제출 2026년 1월 말 ~ 2월 초
환급/납부 보통 2026년 2월 급여에 반영

연말정산 시리즈 안내

  • 1편 개념편 – 연말정산 흐름, 공제 개념
  • 2편 소득공제편 – 항목별 공제 조건 정리 (링크 예정)
  • 3편 세액공제편 – 실전 환급 전략 정리 (링크 예정)
  • 4편 실전편 – 홈택스로 환급액 미리 확인하는 법, 꿀팁 (링크 예정)
  • 5편 신혼부부·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완벽 준비 가이드 (링크 예정)

마무리

연말정산은 미리 알고 준비하는 사람이 더 많이 돌려받고, 덜 납부하게 됩니다.
‘13월의 월급’,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보세요.
다음 편에서는 소득공제 항목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